Blog 307

How i met your mother S01E01 - Scene 2

' Scene Two (The Bar) Ted: Hey. Barney: Where’s your suit!? Just once when I say suit up, I wish you’d put on a suit. Ted: I did that one time. Barney: It was a blazer! Ted: You know, ever since college, it’s been Marshall and Lily and me. Now it’s gonna be Marshall and Lily… and me. They’ll get married, start a family—before long I’m the weird, middle-aged bachelor their kids call “Uncle Ted”. ..

Chapter 6. 경쟁과 시장형태

시장은 경쟁의 정도에 따라 경쟁시장, 과점시장, 독점시장으로 구분된다. 시장의 구분 기준 - 공급자의 수, 진입장벽, 기업의 가격 통제력 경쟁에 따른 시장별 비교 구분 경쟁시장 과점시장 독점시장 공급자수 다수 소수 1개 진입장벽 없음 높음 매우높음 기업의가격통제력 없음 없음 절대적 가격 경쟁가격 과점생산량 > 독점생산량 개별 업체 이익 경쟁이익 과점후생 > 독점후생 독과점시장이란 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이 단일 기업 또는 소수의 기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시장 독점이 생성되고 유지되게 하는 진입장벽의 발생원인 1) 규모의경제 2) 정부가 한 기업에 독점적 지위 보장 3) 정부가 특수한 목적으로 직접 독점력 ..

Chapter 5. 가격과 시장

균형가격은 공급과 수요의 변동의 의해 움직임. 공급불변 공급증가 공급감소 수요불변 가격불변 가격하락 가격상승 수요증가 가격상승 가격하락(수요증가공급증가) 수요감소 가격하락 가격하락 가격하락(수요증가공급증가) 수요과 공급이 일치하는 점에서 균형가격이 결정된다. 수요의 소득탄력성 - 소득의 변화에 대한 수요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것. 수요의 가격탄력성 - 가격의 변화에 대한 수요의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수요의 교차탄력성 - 어떤 재화의 가격 변동에 대한 다른 재화의 수요 변화를 타나내는 것. 가격탄력이 작은 재화와 서비스 - 생활필수품(대체재가 적은 경우에 한정) 공급의 소득탄력성 - 어느 재화의 가격의 변동하였을 때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필수재 :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1..

Chapter 4. 시장경제의 기초

시장경제하에서 경쟁은 시장의 가격기구가 잘 작동하도록 하는 전제조건. 기술진보의 원동력. 단, 경쟁은 자유롭고 공정해야 효과 기대. 자유 - 자유로운 시장참여, 경재 - 자율적 의사에 의한 거래 공정 - 경쟁이 가격, 품질, 서비스 등을 수단으로 합리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완전경쟁시장이란 수많은 가계와 기업이 주어진 시장가격하에서 동질의 상품을 자유스럽게 사고파는 시장을 말한다. 또한 어떠한 생산요소나 기업도 자유롭게 들어오고 빠져나갈 수 있으며 누구나 완전한 시장정보를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시장 완전경쟁시장의 조건 1) 동질의 상품 2) 수많은 가계와 기업 3) 완전 정보 4) 자유로운 시장진입과 이탈 5) 생산요소의 자유로운 이동 경제주체 - 란 자기의 의지와 판단에 의해 경제활동을 행하는 ..

우리나라의 통화지표해설

한국은행 경제통제국 이 책에는 195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 통화지표의 편제연혁과 함께 새 통화지표 체계 및 다른 경제통계와의 관계 등에 대한 자세한 해설내용을 담았습니다. 또한 최근의 지표동향과 통화지표 관련 주요 이슈(issue)들에 대한 분석도 곁들임으로써 우리나라 통화지표 체계는 물론 유동성 변동추이와 경제적 의미 등에 대한 이용자들의 이해도 제고를 도모하였습니다.

Chapter 3. 시장경제의 보이지 않는 손

가격기구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상승으로 수요가 감소하고 공급이 증가하며, 반대의 경우는 가격이 하락하여 수요과 공급의 균형을 달성함으로써 경제안의 생산, 소비, 분배가 조정되는 체계 균형가격의 역할 1) 경제주체들에게 구매/생산에 관한정보, 선호/비용에 관한 정보, 이익에 대한 정보 전달 2) 경제활동의 동기 제공 및 자원의 자율적 배분기역 시장이란 ? 수요와 공급에 관한 정보가 교환되고 매매가 이루어지는 매개체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란 경제주체들이 이기적으로 행동하도록 방임하더라도 가격기구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이루어지는 현상 교환의 이득 - 자유로운 교환은 경제주체들에게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를 얻도록 해주어 사회 후생을 증대시킴. 소비자잉여 -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소비하기 위하여..

Chapter 2. 경제의 기본 개념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고려사항은? 편익, 비용이며, 한계적으로 할 필요가 있음. 한계란 마지막 한 단위, 즉 추가적인 한 단위를 말한다. 한계적으로 생각하기 : 어떤 생동을 함에 따라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편익과 비용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으로 합리적인 의결정의 토대가 됨. 유인(incentive) - 의사결정에 영항을 미치는 주변 여건의 변화 "단, 유인을 변화시킬때는 경제주체의 반응을 염두" 수요와 공급 1) 수요 -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일정한 가격을 치르고 사려고 하는 의도 (소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 결과이며 상품의 가격, 소비자의 소득, 소비자의 기호에 영향을 받아 변화함) 2) 공급 - 생산자가 어떤 사격에 판매하고자 하는 의도 (생산자의 합리적 의사결정 결과이며, 상품가격, 생산비용의 변화에 ..

Chapter 1. 생활과 경제

경제적 상식, 지식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나라 및 세계경제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경제활동 이란 사람에게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모든 활동을 말함. 경제문제의 발생원인 - 자원의 희소성 경제의 3대 기본문제 - 무엇을 생산할 것인지?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 샌산된 재화를 어떻게 나누어야 할 것인지?의 문제 기회비용이란? - 다른 선택의 기회를 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비용이라 하며 기회비용이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희소성(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유한성을 의미) 때문에 모든 사람들은 선택을 하며 살고 있으며, 모든 선택에는 기회비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경제현상을 분석할 때 비용은 기회비용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