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융이란?
돈을 어떤 형식으로 어느정도의 기간동안 어떻게 조달하고 투자하는지에 대한 모든 것
다르게 설명하면 자금을 비리고 빌려주거나 투자하고 투자받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돈을 은행에 입금시키고 이자를 받는 기초적인 예금에서부터 우리 돈과 외국돈을 사고파는 외환거래,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지급을 약속하는 보험이라든지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채권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과정에서 은해 등 금융기관은 가계로부터 예금을 받아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빌려주는 등 중개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금융의 역할
금융은 돈이 필요한 곳에 적절히 흘러가도록 합니다.
금리 : 돈을 빌려주고 빌리는 대가, 즉 자금거래의 대가
명목금리 :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은 금리
실질금리는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고정금리 :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바뀌지 않고 지속되는 금리
변동금리 : 금융시장의 상황에 따라 변하는 금리
은행이 변동금리 대출을 사용할때는 조달자금의 가중평균금리(COFIX)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금리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체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투자 대신 저축을 늘리게 되어 소비는 감소.
반명 금리가 하락하면 저축을 유인이 감소하여 소비는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예금이나 채권 투자 대신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그 결과 이들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는데, 그만큼 소비가 증가하여 경기가 좋아질 가능서 커집니다.
돈이란 ?
한국은행권 즉,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대부분의 금융상품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요구불 예금, 수시 입출식 예금, 정기예금, 실적배당상품, 금융채, 국채까지 돈에 포함되며 전문적인 용어로 통화라고 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쉽게, 즉시, 현금으로 바꾸어도 손해보지 않느냐? 이런 기준에 따라 통화를 여러가지 기준으로 구분하기 합니다.
M1(협의통화), M2(광의통화), Lf(금융기관 유동성), L(광의 유동성) 등인데 현금에 가까운 순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단, 신용카드는 지급을 늦추는 수단에 불과하기 떄문에 돈이라고 할수 없습니다.
돈을 어떤 형식으로 어느정도의 기간동안 어떻게 조달하고 투자하는지에 대한 모든 것
다르게 설명하면 자금을 비리고 빌려주거나 투자하고 투자받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돈을 은행에 입금시키고 이자를 받는 기초적인 예금에서부터 우리 돈과 외국돈을 사고파는 외환거래,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지급을 약속하는 보험이라든지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채권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과정에서 은해 등 금융기관은 가계로부터 예금을 받아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빌려주는 등 중개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금융의 역할
금융은 돈이 필요한 곳에 적절히 흘러가도록 합니다.
금리 : 돈을 빌려주고 빌리는 대가, 즉 자금거래의 대가
명목금리 : 물가상승에 따른 구매력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은 금리
실질금리는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
고정금리 : 약정한 금리가 만기 때까지 바뀌지 않고 지속되는 금리
변동금리 : 금융시장의 상황에 따라 변하는 금리
은행이 변동금리 대출을 사용할때는 조달자금의 가중평균금리(COFIX)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금리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체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이자를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투자 대신 저축을 늘리게 되어 소비는 감소.
반명 금리가 하락하면 저축을 유인이 감소하여 소비는 늘어나게 됩니다. 또한 예금이나 채권 투자 대신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그 결과 이들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는데, 그만큼 소비가 증가하여 경기가 좋아질 가능서 커집니다.
돈이란 ?
한국은행권 즉,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대부분의 금융상품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요구불 예금, 수시 입출식 예금, 정기예금, 실적배당상품, 금융채, 국채까지 돈에 포함되며 전문적인 용어로 통화라고 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쉽게, 즉시, 현금으로 바꾸어도 손해보지 않느냐? 이런 기준에 따라 통화를 여러가지 기준으로 구분하기 합니다.
M1(협의통화), M2(광의통화), Lf(금융기관 유동성), L(광의 유동성) 등인데 현금에 가까운 순으로 나열한 것입니다.
단, 신용카드는 지급을 늦추는 수단에 불과하기 떄문에 돈이라고 할수 없습니다.
'대외활동 > 한국은행 금요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2. 경제의 기본 개념 (0) | 2012.01.16 |
---|---|
Chapter 1. 생활과 경제 (0) | 2012.01.16 |
14회 - 경기순환의 흐름과 측정 방법 (0) | 2011.09.13 |
13회 - 지급결제기능과 금융시스템의 안정 (0) | 2011.09.13 |
11회 - 한국은행의 대출 및 예금제도 (0) | 2011.08.12 |